서유영 개인전
페이지 정보
2021-02-15 ~ 2021-02-27
Hit 20
작성일 23.10.30
본문
2월 서유영 개인전 <From the Inside>
2021.02.05 (월) ~ 02.27 (토) 10:00 - 18:00 (100% 예약제 운영)
갤러리 아트컨티뉴 <강남구 테헤란로 13길 30 2층>
2021년 2월 15일부터 2월 27일까지 서유영 <From the Inside> 개인전을 개최한다. 작가는 주로 작품에 집이라는 소재와 로프라는 재료를 통해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말하고자 한다. 로프는 입체적이어서 재료가 주는 마티에르는 굉장히 강하게 표현된 반면에, 평면에 아무것도 없는 평평한 표면에 물감을 입힌 집이 주는 대조적인 느낌은 단순히 평화롭지 않은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갈등을 투영하고 싶었다고 작가는 말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인간적 갈등과 사회적 갈등을 로프로 표현했고, 집들은 개개인의 삶을 나타낸다.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 사회에는 분명 어두운 이면이 존재하지만, 밝은 색채와 구도를 통해 따듯하고 긍정적인 희망의 메시지를 던진다. 로프라는 소재가 주는 은유적인 의미, 어둡고, 무엇인가를 묶어 구속하는 이미지를 벗어나 작가는 이를 편안하게 다가가려는 노력을 담았다. 대중들에게 편안하고 친숙하게 다가가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을 하는 작가로 남고 싶다는 작가의 의도가 투영되었다.
작가 노트
기존 작업에서는 가치관을 지닌 자아를 집으로, 얽히고 꼬여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로프로 형상화하여 우리 사회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관계를 이야기 해왔다. 그러나 이번 작업에서는 관계를 형성·유지하기 위해 타인을 공감하려는 나의 내면에 그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다 보니 이제는 집은 사라지고 로프로만 구성된 작품도 등장한다. 로프가 퍼져 나가는 끝자락에서 보이는 다양한 크기의 원은 타인을 공감하고자 하는 의지 혹은 에너지이다. 이런 구성은 하나의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할 때, 세포와 세포 사이 미세한 간격의 틈인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그 신호가 전달되어가는 과정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다른 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서 뇌의 신호를 빠르고 정확하게 손끝 발끝까지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역할은 신체에서 매우 중요한데, 진정한 관계 맺음에 있어 타인에 대한 공감은 필수요건이라는 것이 매우 닮아있다.
We, Gallery ArtContinue, presents Seo YouYoung’s solo exhibition <From the Inside> from 15th to 27th of Feb., 2021. The artist mainly tell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with houses and the rope in her works. The rope represents the humane and social conflict between people, and the houses manifest individual life. Even though there is certainly a dark side in the busy modern society, her drawings have a warm and positive message of hope through bright colors and composition. Off from the metaphorical meaning and the dark image of binding and restraining something, that the rope gives, the artist tries to approach to the public with comfortable image in her paintings. The matiere gives very rough air on canvas due to the feature of rope itself, stereoscopic side, and the houses painted with Acrylic on a flat canvas, that gives plane and smooth image. The artist tells the contrast of these two features depicts the conflict between people living in unpeaceful society.
Artist's Note
The artist says, in the previous work, she has talked about various relationships that can be seen in our society by portraying the self with values as “home” and the entangled and twisted relationships with people as rope. However, in this work, she focused on her inner self, who tried to understand others to make and maintain a relationship. So now, the house disappears, and there are works composed only with ropes. The circles of various sizes at the end of the rope, spreading out on canvas, are the will or energy to empathize with others. This construction takes its motif from the process of transmitting signals from one neuron to another by a neurotransmitter at the synapse, a gap between cells and cells. The role of a neurotransmitter, that activates other neurons and transmits signals from the brain to the fingertips and toes quickly and accurately, is very important in the body. And it is very similar that empathy with others is a prerequisite for establishing a true relationship.
2021.02.05 (월) ~ 02.27 (토) 10:00 - 18:00 (100% 예약제 운영)
갤러리 아트컨티뉴 <강남구 테헤란로 13길 30 2층>
2021년 2월 15일부터 2월 27일까지 서유영 <From the Inside> 개인전을 개최한다. 작가는 주로 작품에 집이라는 소재와 로프라는 재료를 통해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말하고자 한다. 로프는 입체적이어서 재료가 주는 마티에르는 굉장히 강하게 표현된 반면에, 평면에 아무것도 없는 평평한 표면에 물감을 입힌 집이 주는 대조적인 느낌은 단순히 평화롭지 않은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갈등을 투영하고 싶었다고 작가는 말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인간적 갈등과 사회적 갈등을 로프로 표현했고, 집들은 개개인의 삶을 나타낸다.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 사회에는 분명 어두운 이면이 존재하지만, 밝은 색채와 구도를 통해 따듯하고 긍정적인 희망의 메시지를 던진다. 로프라는 소재가 주는 은유적인 의미, 어둡고, 무엇인가를 묶어 구속하는 이미지를 벗어나 작가는 이를 편안하게 다가가려는 노력을 담았다. 대중들에게 편안하고 친숙하게 다가가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을 하는 작가로 남고 싶다는 작가의 의도가 투영되었다.
작가 노트
기존 작업에서는 가치관을 지닌 자아를 집으로, 얽히고 꼬여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로프로 형상화하여 우리 사회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관계를 이야기 해왔다. 그러나 이번 작업에서는 관계를 형성·유지하기 위해 타인을 공감하려는 나의 내면에 그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다 보니 이제는 집은 사라지고 로프로만 구성된 작품도 등장한다. 로프가 퍼져 나가는 끝자락에서 보이는 다양한 크기의 원은 타인을 공감하고자 하는 의지 혹은 에너지이다. 이런 구성은 하나의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할 때, 세포와 세포 사이 미세한 간격의 틈인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그 신호가 전달되어가는 과정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다른 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서 뇌의 신호를 빠르고 정확하게 손끝 발끝까지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역할은 신체에서 매우 중요한데, 진정한 관계 맺음에 있어 타인에 대한 공감은 필수요건이라는 것이 매우 닮아있다.
We, Gallery ArtContinue, presents Seo YouYoung’s solo exhibition <From the Inside> from 15th to 27th of Feb., 2021. The artist mainly tell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with houses and the rope in her works. The rope represents the humane and social conflict between people, and the houses manifest individual life. Even though there is certainly a dark side in the busy modern society, her drawings have a warm and positive message of hope through bright colors and composition. Off from the metaphorical meaning and the dark image of binding and restraining something, that the rope gives, the artist tries to approach to the public with comfortable image in her paintings. The matiere gives very rough air on canvas due to the feature of rope itself, stereoscopic side, and the houses painted with Acrylic on a flat canvas, that gives plane and smooth image. The artist tells the contrast of these two features depicts the conflict between people living in unpeaceful society.
Artist's Note
The artist says, in the previous work, she has talked about various relationships that can be seen in our society by portraying the self with values as “home” and the entangled and twisted relationships with people as rope. However, in this work, she focused on her inner self, who tried to understand others to make and maintain a relationship. So now, the house disappears, and there are works composed only with ropes. The circles of various sizes at the end of the rope, spreading out on canvas, are the will or energy to empathize with others. This construction takes its motif from the process of transmitting signals from one neuron to another by a neurotransmitter at the synapse, a gap between cells and cells. The role of a neurotransmitter, that activates other neurons and transmits signals from the brain to the fingertips and toes quickly and accurately, is very important in the body. And it is very similar that empathy with others is a prerequisite for establishing a true relationship.